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신라의 골품제도

골품제도는 신라 사회의 신분제이다. 혈통에 따라 신분에 일부 제한을 두었던 폐쇄적인 신분 제도로 신라가 고대국가로 발돋움한 이래 멸망할 때까지 약 1,000여 년간 신라 사회의 기본 패러다임이었으며, 고대 일본의 성씨제도에까지 영향을 끼쳤다는 가설도 있다. 골품제는 기본적으로 여덟 단계로 구분된다. 왕족은 성골과 진골로 두 가지로 구분되며, 왕족이 아닌 신분은 진골에서 6까지의 두품으로 나누었다. 숫자가 높은 두품이 더 높은 신분이다. 두품의 경우 왕경에 거주하는 귀족 계층에 대해서만 적용하였던 신분제로 보기도 한다. 성골 왕을 포함해서 왕위 계승권을 가지는 왕족으로 많이 폐쇄적이었고 그 규모도 몹시 작았다. 신라가 율령을 반포하고 고대 국가로 성장한 법흥왕 무렵에 성골이 성립된 것으로 추측되며 진덕여왕..

금융 2022. 12. 1. 13:30
선덕여왕 덕만

신라 제 27대왕 선덕여왕에 대한 출생에 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삼국사기'에는 진평왕의 맏이로, '삼국유사'에는 형제자매 서열에 관한 기록이 없이 진평왕의 딸로만 기록되어있다. 진평왕이 아들 없이 승하하자, '화백회의'에서 진평왕의 왕녀인 덕만을 새로운 왕으로 추대하여, "성스러운 조상의 혈통을 이어받은 여황제"라는 뜻을 가진 '성조황고'라는 존호를 올렸다. '삼국유사' 왕력 편은 “김씨 성골의 남자가 다하였으므로 여왕이 왕으로 선 것이다” 라고 사실을 알리고 있다. 즉위한 해인 632년(건복 49년)에 을찬 또는 을제로 하여금 국정을 총괄하게 하였고, 각지에 관리를 파견하여 홀아비, 홀어미, 고아, 독거노인 등 어려운 처지의 사람들을 돕게 하였으며, 당에 사신을 파견하였다. 당 태종은 빨강, 자..

금융 2022. 12. 1. 10:30
미륵이 되고싶었던 궁예

895년(진성여왕 9년), 궁예는 동해를 끼고 북상해 영서 지방으로 넘어와 저족, 성주, 철원, 금성, 부약 등 10여 군현을 점령하여 세력 기틀을 다졌고, 지금의 강원도 전 지역을 장악한 궁예는 이듬해 철원을 자신의 도읍으로 삼았다. 궁예의 세력이 급격히 성장하자 패서, 즉 예성강 이북 지역의 호족들이 차례로 궁예에게 앞다투어 투항하였는데, 세력이 강력해진 것을 본 궁예는 나라를 세워 왕이 된다. 896년(진성여왕 10년) 송악의 해상 호족이었던 사찬 왕륭이 송악군을 바치고 항복한다. 이에 궁예는 왕륭을 금성태수에 임명하고 한편 왕륭의 건의를 받아들여 왕륭의 아들인 왕건을 송악군에 발어참성을 쌓게 한 뒤 그곳의 성주로 임명한다. 그 뒤로도 세력을 쉬지않고 확장하는 한편 897년(진성여왕 11년) 왕륭의..

금융 2022. 11. 29. 01:17
광해군의 중립외교 정책

선조는 임진왜란이 끝나고도 9년이나 더 재위한 다음 1608년에 세자 광해군이 그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광해군은 유능한 왕자로서 임진왜란 당시 항일의 공로도 매우 컸으나, 혈통상으로는 이복동생인 영창대군에 비해 불리한 조건에서 왕위에 올랐다. 선조의 적자가 아니라는 것이 광해군시대를 어렵게 만든 요인이 되었다. 광해군을 추종한 북인은 원래 동인 중에서 이황 문인을 제외한 여러 파벌이 연합한 붕당이어서 서경덕과 조식의 문인이 중심을 이루었다고는 하지만 쉽게 분열될 소지를 가지고있었다. 광해군의 세자 책봉을 둘러싸고 영창대군의 혈통을 존중하면서 훈척의 정치 간여에 비판적 입장을 지닌 명분주의자가 소북을 형성하였고, 광해군의 혈통상 문제보다는 항일의 공적과 능력을 존중하여 부국강병을 추구하려는 현실주의자..

금융 2022. 11. 29. 00:42
이전 1 2 3 4 5 6 ··· 8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help@abaeksite.com | 운영자 : 아로스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